[회계학] 관리회계 암기사항

< 표준원가계산>
# 표준원가 : 원가요소(①②③④)별 가격표준과 수량표준을 미리계산. 사전원가.
# 표준직접재료원가 = 실제생산량(단위) x 표준수량(kg/단위) x 표준가격(원/kg)
# 표준직접노무원가 = 실제생산량(단위) x 표준시간(시간/단위) x 표준임률(원/시간)
# 실제직접재료 > 표준직접재료 : 원가가 예상보다 많이 소요됨 -> 이익 감소 -> 불리
# 실제직접재료 < 표준직접재료 : 원가가 예상보다 적제 소요됨 -> 이익 증가 -> 유리
# 직접재료원가 차이분석
실제사용량 x 실제가격      실제사용량 x 표준가격    실제생산량 x 표준수량 x 표준가격
………………..\———-가격차이——–/…….\———-수량차이——–/

# 직접노무원가 차이분석
실제사용량 x 실제임률      실제사용량 x 표준임률    실제생산량 x 표준시간 x 표준임률
………………..\———-임률차이——–/…….\———-능률차이——–/

# 변동제조간점원가 차이분석
실제조업도x실제배부율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실제조업도x표준배부율           실제생산량x표준조업도x표준배부율
………………..\———-소비차이——–/…….\———-수량차이——–/

# 고정제조원가 차이분석
실제조업도 x 실제배부율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예산          실제생산량 x 표준조업도 x 표준배부율
…………….\———-예산차이——–/…    \———-조업도차이——–/

# 고정제조간접원가 예산 = 기준조업도 x 표준배부율

<관련원가와 의사결정>
# 관련원가 : 기회비용
# 비관련원가 : 매몰원가
# 단기 : 유휴생산능력 고려
# 장기 : 설비투자, 화폐의 시간가치 고려, 자본예산
# 단기적 의사결정 유형
특별주문 : 증분수익(매출액) – 증분비용(변동비용, 기회비용) = 증분이익
제품라인 폐쇄 : 증분수익(고정원가 절감액) – 증분비용(폐쇄된 제품의 공헌이익)

<불확실성하의 의사결정>
# 대안이 2개 이상인 경우-> 기대가치 극대화하는 대안 선택
# 완전정보의 기대가치 : 완전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지불할 용의가 있는 최대금액

<종합예산>
# 종합예산 : 단기예산, 생산, 구매 등 1년단위 편성
# 제품 -> 재공품 -> 재료 (역순으로 문제풀면 된다)

<투자중심점 성과평가>
# 투자의사결정도 사업부가 결정함
투자수익률(ROI) = 영업이익 / 투자액
잔여이익(RI) = 영업이익 – 투자액 x 최저요구수익률

<대체가격결정>
# 대체가격 : 사업부내 부문간 거래
# 공급사업부의 단위당 최소대체가격 = 대체시 단위당 증분지출원가 + 기회원가

<전략적 성과평가>
# 학습과 성장관점 -> 내부프로세스 관점 -> 고객 관점-> 재무적 관점

[회계학] 원가회계 암기사항

# 원가 :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희생된 경제적 자원을 화폐단위로 측정한 것

<상기업과 제조기업의 비교>
– 상기업 : 상품 / 기초상품 + 당기매입 = 매출원가 + 기말재고
– 제조 : 원재료, 재공품, 제품 / 기초제품 + 당기제품제조원가 = 매출원가 + 기말재고

<원가의 분류>
제조원가(공장) / 판매비와 관리비(본사)
제품원가(판매시 비용) / 기간원가(즉시비용)
직접원가(추적가능) / 간접원가(추적불가)
변동원가(생산량↑ -> 원가총액↑) / 고정원가(생산량↑ -> 원가총액 불변)

<제조원가의 분류>
– ①직접재료원가(DM)
– ②직접노무원가(DL) : 생산직근로자 급여
– ③제조간접원가(O.H) : 공장감독자 급여
기초(기본)원가 = 직접재료 + 직접노무
가공(전환)원가 = 직접노무 + 제조간접

<제조기업의 원가흐름>
– 원재료 : 기초원재료 + 원재료매입액 = 사용액(①직접재료원가) + 기말재료
– 재공품 : 기초재공품 + 당기총재조원가(①직재+②직노+③제간)
= 당기제품제조원가+기말재공품
– 제품 : 기초제품 + 당기제품제조원가 = 매출원가(판매분) + 기말제품(미판매)

<재고자산(원재료+재공품+제품)>
기초원재료+기초재공품+기초제품+당기매입재료+가공원가
= 기말재료+기말재공품+기말제품+매출원가

<개별원가>
– 개별원가 : 개별제품이나 작업별로 원가를 집계하고 배부하 ex)항공기, 선박
– 정상개별원가 :직접재료, 직접노무 -> 실제 발생원가 배부/ 제조간접 -> 예정배부율
– 예정배부율 = 제조간접원가예산/예정조업도(정상조업도)
– 예정배부액 = 실제조업도 x 예정배부율
– 배부차이 :
실제발생액 > 예정배부액 (과소배부 -> 추가원가배부 -> 원가↑ -> 이익↓)
실제발생액 < 예정배부액 (과대배부 -> 원가차감 -> 원가↓ -> 이익↑)

<보조부문원가>
– 보조부문 : 제조활동에 직접 관련x, 제조활동 보조 -> 비용x, 원가에 포함
– 원가행태에 따른 배부
단일배분율법 : 실제조업도 기준 배부
이중배분율법 : 변동원가=실제사용량 / 고정원가 = 최대생산가능량(최대사용량)
– 보조부문 용역수수관계 고려정도에 따른 배분(자가소비부분은 모두 무시)
1) 직접배부법(x,x) : 무시, 간편, 정확도↓, 순서고려x
-> 보조부문의 비율은 무시하고 제조부문의 비율로 분배한다.
2) 단계배부법(o,x) : 부분적 고려, 순서가 중요
-> 비율이 큰 보조부문부터 배분하고, 나머지 보조부문에 금액을 합춰 제조에 배분.
3) 상호배부법(o,o) : 완전히 고려, 정확O, 시간과 비용↑, 순서고려x
-> 연립방정식. 조부문 배부원가 = 자기부문원가 + 다른 보조에서 받은 원가

<활동기준원가>
– 활동기준원가 : 다품종소량생산-> 제조간접원가 비중↑-> 원가배분이 부정확해짐
-> 활동의 시간을 기준으로 원가를 배분한다. (사전, 사후 원가 모두 가능)
– 장점 : 정확성↑, 성과평가 개선↑, 효율적 통제↑, 원가계산 신축적
– 단점 : 과다 운영비용, 재고과잉 유인, 활동구분기준 불명확

<종합원가>
– 단일제품, 대량생산에 적합. ex) 시멘트, 제약업 등
– 완성품환산량 : 기말재공품수량 x 가공원가 완성도
– 평균법 : 기초재공품의 완성도 고려x
– 선입선출법 : 기초재공품 먼저 완성 후 당기착수품 완성, 실제 물량흐름 고려
-> 당기완성품의 경우 기초재공품과 당기착수완성품으로 분류하며, 기초재공품은 재료원가를 배분하지 않고, 잔여완성도만큼만 원가에 가산한다.
– 평균법과 선입선출법은 기초재공품의 기완성도에 의해 차이가 발생
– 정상공손원가 : 물량흐름파악(그래프 그려서) -> 완성품환산량 -> 원가계산

<결합원가>
– 결합원가 : 하나의 공정에서 동일한 재료 사용하여 생산되는 2개이상의 제품
– 상대적 판매가치법 : 분리점에서의 제품 판매가치(판매가x생산량)에 비례하여 배분
– 순실현가치법 : {최종판매가치(판매가x생산량) – 추가가공원가 – 판관비}에 비례
– 균등매출총이익률법 : 전체의 매출총이익률 산정-> 매출총이익률에 비례하여 배분
– 추가가공 의사결정 : 증분수익 – 증분비용 = 증분이익 >0
– 부산물의 회계처리 : 의도치않게 생산과정중에 생긴 제품
생산기준법 : 생산하자마자 가치로 인정 / (차)부산물(자산) 100   (대) 결합원가 100
판매기준법 : 판매시에 가치로 인정

<원가의 추정>
– 변동원가 : 조업도↑->총원가↑, 단위당 변동원가 불변
– 고정원가 : 조업도↑->총원가 불변, 단위당 변동원가 ↓
– 원가함수 : 추정총원가 = 고정원가 + 단위당변동원가 x 원가동인(조업도)
– 고저점법 : 조업도 기준 가장 큰값과 가장 작은값을 연결한 함수
– 누적평균시간 모형 : 누적생산량이 두배로 증가시 누적총시간 산정

<전부원가계산과 변동원가계산>
전부원가(①②③④) : 직접재료 + 직접노무 + 변동제조간접 + 고정제조간접
변동원가(①②③) : 직접재료 + 직접노무 + 변동제조간접
초변동원가(①)  : 직접재료
– 기말재고↑->매출원가↓->매출총이익↑

# 변동원가 계산양식
매출액(판매량x단위당판매가)
– 변동원가 : 변동매출원가(판매량x단위변동제조) + 변동판관비
= 공헌이익 : 판매량x(단위당판매가-단위당변동원가)
– 고정원가 : 고정제조간접원가 + 고정판관비
= 영업이익

– 영업이익 차이
전부원가와 변동원가 차이 = 기말재고수량 x ④
전부원가와 초변동원가 차이 = 기말재고수량 x (②+③+④)
변동원가와 초변동원가 차이 = 기말재고수량 x 변동가공원가(②+③)

# 영업이익 차이(계산식)
초변동영업이익(①)
+ 기말재고 변동가공원가(②+③)
– 기초재고 변동가공원가(②+③)
= 변동원가 영업이익(①+②+③)
+ 기말재고 고정제조간접원가(④)
– 기초재고 고정제조간접원가(④)
= 전부원가 영업이익(①+②+③+④)

<원가-조업도-이익 분석(CVP분석)>
# CVP분석 : 조업도수준의 변화에 따라 원가와 이익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분석
# 공헌이익 = 판매량 x 단위당 공헌이익(단위당 판매가 – 단위당 변동원가)
# 공헌이익 = 매출액 x 공헌이익률
# 공헌이익률 = 공헌이익 / 매출원가 = 1 – 변동원가율 = 단위공헌이익 / 단위당판매가
# 공헌이익 – 고정원가 = 영업이익(세전)
# 매출액 = 매출원가 + 영업이익 = 변동원가 + 고정원가 + 영업이익
# 손익분기점에서의 공헌이익 = 단위당공헌이익 x 판매량 = 고정원가
# 손익분기점에서의 공헌이익률 x 매출액 = 고정원가
# 세후목표이익 = 세전이익 x (1-t)
# 안전한계(여유매출액) = 매출액 – 손익분기점 매출액
# 안전한계율 = (매출액 – 손익분기점 매출액) / 매출액 = 영업이익 / 공헌이익
#영업레버리지도=영업이익증가율/매출액증가율=1/안전한계율=공헌이익/영업이익
# 세후영업이익 = (공헌이익 – 고정원가) x (1-t) + 감가상각비

[회계학] 재무회계 암기사항

# 재무정보의 질적 특성 : 목표 / 비검적이
– 근본적 질적특성 : 목적적합성, 표현충실성
– 보강적 질적특성 : 비교가능성, 검증가능성, 적시성, 이해가능성

# 역사적원가
– 자산 : 지급한 대가 + 취득거래원가(매각시 x)
– 부채 : 지급한 대가 – 취득거래원가(매각시 x)

# 현행원가
– 공정가치 : 측정일, 시장참여자 사이, 자산매도 or 부채이전 가격, 거래원가 x
– 사용가치, 이행가치 : 자산의 사용 or 부채의 이행, 매각거래원가(취득시 x)
– 현행원가 : 측정일, 동등한 자산 + 취득거래원가(매각x)

# 자본유지
기초자본 + (수익 – 비용) + 유상증자 – 현금배당 = 기말자본

# 재무자본유지
– 명목화폐단위 = 기말자본 – 기초자본 = 이익
– 불변화폐단위 = 기말자본 – 기초자본 – 일반물가상승분 = 이익

# 실물자본유지
실물자본유지에 따른 당기순이익 = 기말자본 – 기말가격 x 기초구매가능수량

# 유동부채, 비유동부채 구분(보고기간 후의 행위는 반영x)
– 보고기간 후 재무제표 발행승인일 전에 장기로 치환하는 약정체결 -> 유동부채
– 보고기간 말 이전에 장기차입약정 위반시 즉시상환 가능한 경우, 보고기간 후 재무제표 발행승인일 전에 약정위반 상환않기로 합의함 -> 유동부채
– 보고기간 후 12개월이상 부채를 연장할 것으로 기대 + 재량권보유 -> 비유동부채
– 보고기간 이전에 12개월이상 유예기간 주는것에 합의, 기업이 위반사항 해소할 수 있고, 대여자가 상환 요구 할수 없는 경우 -> 비유동부채

# 기타포괄손익에서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(금액큼)
– 유,무형자산의 재평가시 인식하는 재평가잉여금
–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
– 기타포괄손익-공정가치 측정항목으로 선택한 금융자산의 공정가치평가손익

# 기타포괄손익에서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(금액작음)
– 통화로 환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외환차이
– 채무상품(채권)의 공정가치평가손익
– 위험회피에 효과적인 부분

# 물가상승시 원가흐름가정 : 가나다순!!
기말재고 : 선입선출 > 이동평균 > 총평균
매출원가 : 선입선출 < 이동평균 < 총평균
당기순이익 : 선입선출 > 이동평균 > 총평균

# 재고자산의 인식시점
– 미착품(운송중상품) 
1. 구매자(선적지 인도시) : 매입o, 재고o
2. 구매자(도착지 인도시) : 매입x, 재고x
3. 판매자(선적지 인도시) : 매출o, 재고x
4. 판매자(도착지 인도시) : 매출x, 재고o
– 위탁판매(적송품) : 수탁자가 미판매한 물건은 재고에 포함
– 시용판매(시송품) : 소비자가 매입의사 표시 안한 물건은 재고에 포함
– 담보차입 : 대출목적이므로 매출x, 재고에 포함
– 할부판매 : 매출o, 재고x
– 재구매조건부판매 : 대출목적이므로 매출x, 재고에 포함해야함

#확정급여채무(부채)
= 기초잔액 + 이자비용 + 당기근무원가 + 과거근무원가 – 퇴직금지급
+ 보험수리적손익(기타포괄손익) = 12/31 확정급여채무 현재가치

#사외적립자산(자산)
= 기초잔액 + 이자수익(기대수익) + 출연 – 퇴직금지급
+ 재측정요소(기대수익과 실제수익의 차이) = 12/31 사외적립자산 공정가치

#무형자산
– 자체적으로 개발한 웹사이트 : 요건 모두 충족시 무형자산으로 인식
– 비한정 무형자산 : 매년 손상검사
– 사업결합으로 취득한 무형자산 : 항상 인식기준을 충족, 취득일의 공정가치
– 고정고객, 시장점유율, 고객 관계 : 자산통제불가하므로 무형자산 x
– 내용연수 종료시 제3자가 구입약정한 무형자산 : 잔존가치는 0이 아님

#소매재고법 원가율 산정(p.104)
– 평균법 : (기초원가+당기매입원가) / (기초판매가+당기매입판매가)
– 선입선출법 : 당기매입원가 / 당기매입판매가

#금융자산
– FVOCI(기타포괄손익-공정가치) : 공정가치평가 손익은 모두 기타포괄손익으로
– FVPL : 평가손익을 모두 당기순손익으로 인식

# 판매형리스(제조자가 판매자인 리스, ex) 정수기, 비데)
– 금융리스이면 매출인식O / 운용리스이면 매출인식X
– 매출액=min[리스자산의 공정가, 리스료의 현재가치]
– 매출원가 = 제조원가 – 무보증잔존간치의 현재가치
– 리스개설직접원가 : 즉시 비용처리(광고선전비)

# 유동비율, 당좌비율
– 유동비율 = 유동자산 / 유동부채
– 당좌비율 = 당좌자산 / 당좌부채
– 재고자산은 유동자산O, 당좌자산X
– 매출채권은 유동자산O, 당좌자산O

# 재고자산회전율 = 매출원가 / 평균재고자산

######